2024. 1
	- 
		
		박재항 글로벌브랜드&트렌드 대표익숙한 도시를 새롭게 만드는 브랜드글 박재항 글로벌브랜드&트렌드 대표2012년 겨울, 모터쇼 참관을 위하여 방문한 중국 남부의 대도시인 광저우는 영 마음에 들지 않았다. 공항부터 2008년 올림픽 이후 최신 설비로 개비한 상하이나 베이징과 확연히 차이가 났다. 중국어가 서툴기는 했지만 그럭저럭 통했던 북부의 도시와는 달리 광동어(廣東語)의 높은 …...
- 
		
		고다인 기자·류나윤 기자신년기획 | 문화로 지역 읽기 우리는 지역에서 ‘문화’하는 중입니다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원 플러스 원처럼 나란히 붙어 다니는 두 용어는 우리 사회의 화두로 떠오른지 오래다. 인구감소 지역으로 지정된 89곳 중 단 네 곳을 제외한 85곳은 비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다. 사람으로부터 문화가 꽃피고 예술도 샘솟는 법이니 도시와 농촌의 문화 격차는 …...
- 
		
		고다인 기자신년기획 | 문화로 지역 읽기무주무주와 문화를 연결하면 떠오르는 키워드들이 꽤 많다. 매년 초여름이면 찾아오는 낭만적인 축제 산골영화제를 비롯해, 스포츠를 넘어 문화 자원으로서 활용되고 있는 태권도까지. 또한 무주를 대표하는 문학가 김환태 선생, 조선시대 화가 최북, 서예가 김용범 등 문화예술계에 이름을 알린 인물들도 많다. 덕분에 인물들을 테…...
- 
		
		류나윤 기자신년기획 | 문화로 지역 읽기진안호남의 지붕이라 불리는 진안고원은 소백산맥과 노령산맥 사이, 울창한 숲과 계곡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약 2억만 년 전 두 산맥이 융기하여 만들어진 이곳은 그 깊은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문화예술을 품는다. 성수면 중평마을에서는 중평굿보존회가 결성되어 중평 농악(굿)을 바탕으로 전라좌도 농악의 맥을 잇는다. 또한 백…...
- 
		
		고다인 기자인터뷰 ㅣ 편지쓰기 가치 전하는 로컬브랜드 ‘레디터’ 새해에는 꼭 편지할게요 텅 빈 종이를 마주하면 일단 맨 위에 ‘To. 00에게’를 자신 있게 적는다. 그리고 한참을 망설인 기억, 한번쯤 있지 않은가. 편지는 그만큼 마음을 기울여야만 채울 수 있다. 단 한 사람만을 생각하며 쓰는 가장 낭만적인 글이기도 하다. 특별한 날을 축하하거나 열렬한 응원을 …...
- 
		
		류나윤 기자지속 가능한 문화예술을 위하여지난해 문화저널은 네 차례에 걸친 포럼을 통해 ‘ESG와 문화예술의 만남’을 들여다봤다. 예술인과 기업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지역 사회의 ESG 사례와 성과, 그 의미를 진단하는 자리였다. 다행히 ESG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예술가들의 실천은 늘어나고 있지만 지역의 ESG에 대한 인식은 아직 낮았다. 몇몇 …...
- 
		
		고다인 기자일상의 주택건축전 ‘우리집’당신은 어떤 집에 살고 싶은가요? 사과나무집_노경 작가 촬영 어린 시절, 친구들 집에 놀러갈 때면 주택에 사는 친구들이 참 부러웠다. 집집마다 다른 모양을 한 주택에는 가족의 일상이 자연스레 묻어나 구경하는 것만으로 신이 났다. 누구나 멋진 집을 동경하며,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어른이 되었지만 집을 ‘짓는’건 둘째 …...
- 
		
		고다인 기자최명희문학관 운영 마치는 혼불기념사업회 열일곱 해, 차곡차곡 쌓아 올린 시간과 사람2006년 봄, 고요한 한옥마을 골목에 문학관 하나가 문을 열었다. 그때만 해도 이 동네는 관광객 대신 토박이들이 북적이는 삶의 터전이었다. ‘최명희문학관’이라는 이름의 낯선 공간. 찾아오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문학관은 대문을 활짝 열고 이웃 어르신들에게 너른 …...
 


 1월
			1월
			 2월
			2월
			 3월
			3월
			 4월
			4월
			 5월
			5월
			 6월
			6월
			 7월
			7월
			 8월
			8월
			 9월
			9월
			 10월
			10월
			 11월
			11월
			 12월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