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1994.2 | [문화저널]
내가 권하는 책 우리 삶의 환경 바로 이해하는 지침 『환경의 이해』(시민환경연구소 엮음, 환경운동연합 펴냄)
김종인 원광대 보건행정학과 교수(2003-09-16 16:26:35)
요즘 낙동강 식수오염문제로 매스컴과 온 나라안이 쑤셔놓은 벌집 같다. 그러나 어느 누구 책임지는 사람과 기관도 없고 행정부는 문제의 심각성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에 급급하다. 우리의 환경문제와 식수오염문제가 어제오늘의 문제만은 아니다. 환경문제니 식수오염이니 사건이 나오면 시민들과 각종 민간환경단체들 그리고 정치인들은 목청을 돋구어 폐수를 방류한 공장이나 가축분을 배출한 축산농가를 비난하지만 사실은 공장주나 축산업자의 양식도 문제거니와 주범은 환경문제나 식수오염문제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고 아무렇게 버리고 훼손하는 우리 스스로가 주범이다는 것이다. 이 책은 시민환경연구소가 엮어 환경운동연합이 출판한 것으로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어, 오늘의 우리 환경과 환경문제를 바로 이해하는 지침을 제공한다. 제1부의 환경과 자연은 지구환경의 생성과 생태계, 지구환경을 이루고 있는 대기, 수질, 해양의 구성과 오염원인 및 과정과 그 영향을 다루고 있다. 인간의 생활은 지구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는 우리의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제2부 환경과 사회인식은 인간의 사상 속에서 환경과 자연 그리고 과학을 어떻게 인식했으며, 우리 삶의 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그 인식과 우리 사회가치체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다루고 있다. 휴머니즘은 환경과 과학에 있어서 어떠한 것인가, 공업화는 환경과 우리 삶의 체계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공업화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가, 환경에 있어서 핵심적인 가치체계와 국가와 사회계급에 따른 환경이해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제3부 환경과 사회생활은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의 본질,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환경경제학의 도입을 통한 환경경제적 분석, 그리고 환경문제해결을 위한 법률적 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는 환경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적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취하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한 정책들을 이해할 수 있다. 제4부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하여는 환경운동의 형성과 발전, 과학기술의 역할과 한계, 생태주의 환경교육, 여성과 환경의 세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우리 환경운동의 역사를 살펴보고, 환경문제와 과학기술과의 관계를 설며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참환경교육은 무엇인가, 환경문제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제시하고 있다. 환경문제는 우리 사회의 발전과 성장과정에서 나오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의 결과로서 산업사회와 더불어 시작된다. 그러나 환경운동은 국가나 정부조직이 앞서서 시작하기보다는 일반시민이 주체가 되어 앞서나갔다는 것이다. 1992년 6월 브라질의 리우에서 열린 유엔 환경개발회의(UNCED)도 같은 곳에서 같은 일시에 열리는 국제민간환경조직(NGOS)의 환경회의에 자극 받아 마지못해 열린 것에 불과하다. 이것은 환경문제에 있어서 국가적 이해관계 때문에 국가나 정부조직이 할 수 있는 일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리우회의에서 각 국의 대표들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지만 생물다양성협약 등을 체결하지 못한 것은 국가나 정부조직의 차원에서는 환경문제보다 국가적 이익이 앞서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환경문제에 있어서 민간단체와 일반시민의 사고와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탈이데올로기시대에 있어서 세계를 하나로 묶는 새로운 이념은 인류의 건강과 환경이다. 새로운 문제와 이념으로 출현하고 있는 환경문제를 파악하는 것은 그 환경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이해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고 본다. 이 책을 여러 독자들에게 권하는 것은 이 책이 그러한 시발점을 제공하는 하나이다라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