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1 |
생각의 발견
관리자(2012-11-05 15:32:09)
아이디어는 결점에서 나올까 희망에서 나올까
윤목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아이디어를 내는 두가지 방법 - 결점연상법과 희망열거법
아인시타인은 지식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상상력이라고 했다. 지식은 창의적으로 응용될 때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고 한 것이다. 또 제임스 영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카피라이터는 아이디어는 낡은 요소의 재발견이라고도 했다. 세상의 아이디어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 기존의 낡은 요소가 새로운 요소를 만나서 재결합될 때 태어난다고 한 것이다.이 낡은 요소의 재발견에 결점연상법과 희망열거법이라는 아이디어 발상법이 있다.아이디어를 끄집어내는 강제연상법 중 결점열거법은 미국 네브라스카대학의 크로포드교수가 고안 한 것으로 문제점 발견을 촉진하는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름 그대로 결점을 구체적으로 끄집어내어 발상하는 방법이다. 결점연상법에 대한 예를 들어보자.
결점열거법의 3단계 아이디어 발상법
1단계 | 2분
내 눈앞의 재떨이에 대하여 무엇이든지 좋으니 새롭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능한 한 많이 적는다.
2단계 | 1분
눈앞의 재떨이에 대하여 특히 나를 불편하게 하는 것, 불만스러운 점 등 결점을 1분간 생각하여 적는다.
3단계 | 1분
2단계에서 적은 재떨이의 결점을 잘 살펴보면서 그것을 고치기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능한 많이 생각하고 그것을 적어본다.
마지막으로 1단계의 결과와 3단계의 결과를 비교해보자. 클로포드교수는 실험결과 1단계에서는 훌륭한 아이디어를 낸 사람은 거의 없었다고 한다. 2단계에서는 대략 5가지에서 7가지의 결점을 드는 것이 가능했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상당히 창의적인 3~4가지의 아이디어를 대부분의 사람이 만들어 냈다고 한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문제가 확실해지면 이를 통해 해답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1단계에서 결점을 떠올리면서 아이디어를 짜내려 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선 결점을 열거하고 다음에 그것을 개선할 아이디어를 구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다른 예로 종이컵을 생각해보자.
1단계 | 평소 종이컵을 사용하면서 종이컵이 어떻게 바뀌었으면 좋을지 생각해본다.
2단계 | 종이컵을 쓰면서 느꼈던 불편함에 대해 열거해본다.
Ex) 크기가 너무 작다, 물을 담으면 눅눅해진다. 보온이 되지 않는다. 오랫동안 쓸 수 없다. 불투명해서 내용물 확인이 어렵다. 뜨거운 것을 담았을 때, 잡기가 어렵다 등등이 있을 것이다. 등등
3단계 |그 불만에 대한 개선책을 생각해본다.
Ex) 크기가 너무 작다 ⇀ 중, 소, 대로 만든다. 아니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든다. 물을 오래 담으면 눅눅해진다 ⇀ 코팅을 한다. 재질을 개선한다. 불투명해서 내용물 확인이 어렵다 ⇀ 종이컵 바깥면에 커피, 맥주, 콜라 등의 표시를 체크한다.
이런 방법으로 엄청난 성공을 한 회사가 바로 미국의 주방용품회사 ‘OXO,’라는 회사다.
옥소는 가늘고 좁은 금속재질 손잡이로 된 감자깎이칼을 손잡이가 두껍고 넓은 고무재질로 만들어 히트를 쳤으며 잡을 때마다 손아귀에 힘이 잔뜩 들어갔던 주방용 집게에 집게의 두팔을 모아주는 장치를 달아 여자들이 힘 안들이고 물건을 집을 수 있게 했다. 눈금을 읽을 때마다 몸을 기울여야했던 계량컵은 컵 안쪽에 눈금을 새겨 선채로도 양을 맞출 수 있게 했다. 그러한 결과 불과 20여년만에 미국내 주방용품시장의 50%를 차지한 주방의 문제해결사가 될 수 있었다.
실현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희망열거법
반면 희망열거법은 ‘이랬으면 좋겠다’, ‘이렇게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하는 희망사항을 열거하고 적극적인 해결이나 개선책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결점열거법의 반대라고 할 수 있으나 결코 그것만은 아니다. 예를들어 두루마리 화장지에 대한 희망사항을 열거해보자. 기술적인 것, 실현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최상의 희망을 꿈꾸어보는 방법이다.
1.줄자처럼 당겼다 들어갈 수 있었으면
2.써도 줄어들지 않았으면
3. 신문 같은 뉴스나, 만평, 4컷만화, 영어단어 등이 인쇄되어 있었으면
어떤 발상법에 손을 들어 줄 것인가
둘다 장단점이 있다. 즉, 결점열거법이 문제나 사물의 현상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혁신적인 비약을 놓치기 십상인 반면에 희망열거법은 끝없는 욕심이 희망으로 나타나서 뜻밖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이 두가지 방법 다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그 어떤 아이디어도 낡은 요소의 재발견이라는진리에서 시작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 이 순간이라도 바로 우리 주변의 낡은 요소들을 둘러보고 결점과 희망을 생각해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