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의 눈덩이를 굴려라
윤 목 광고기획자
한 사람이 갖고 있는 아이디어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눈사람을 굴리듯 여러 사람이 모여 발상의 연쇄작용을 꾀한다는 의미에서 Snow Bowling효과라고도 한다. 즉 5~8명이 한 팀이 되어 한 시간 가량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를 개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도 들어보는 난상토론기법이다.
Snow Bowling효과라 불리는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 발상법
아이디어를 어떻게 낼 것인가. 이 물음에 대하여 오늘날 광고회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브레인스토밍 기법이다. 이것은 미국 BBDO라는 광고회사의 Alex Osbon이라는 사람에 의해 정리된 방법인데 우리가 알게 모르게 늘 사용하는 방법이다. 한 사람이 갖고 있는 아이디어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눈사람을 굴리듯 여러 사람이 모여 발상의 연쇄작용을 꾀한다는 의미에서 Snow Bowling효과라고도 한다. 즉 5~8명이 한 팀이 되어 한 시간 가량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를 개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도 들어보는 난상토론기법이다. 그래서 Osbon은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 발상법을 이야기하면서‘거의 모든 아이디어는 다른 아이디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라고 말했다.
브레인스토밍 발상법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1. 테마의 설정_ 5~8명의 팀으로 가장 먼저 주제를 설정한다. 브레인스토밍이 시간 까먹기 또는 잡담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명확한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미샤’라는 저가 화장품브랜드의 마케팅팀 회의실이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미샤가 어떻게 저가화장품 브랜드 1위인 페이스샵에 대항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끌어 올릴수 있을까’와 같이 명확한 타겟,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브레인스토밍을 시작해야 한다.
2. 회의 장소_ 얼굴을 마주 볼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팀에서 나온 아이디어를 하나하나 기록할 수 있는 칠판이 있어야 한다.
3. 사회를 맡을 리더의 준비_ 리더는 미리 주제에 대한 많은 연구와 검토를 하여 회의가 다른 곳으로 흐르지 않게 팀 전체를 리드하며 보다 넓은 각도에서 아이디어를 내도록 유도한다.
브레인스토밍의 5가지 원칙
이러한 브레인스토밍이 효과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원칙이 있다.
첫째,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비판하지 말고, 어떤 아이디어라도 무조건 수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연차가 낮은 사원이 어떤 이야기를 할 때‘넌 정신이 있는 애냐, 어떻게 그따위 생각을 할 수 있냐’는 식으로 무시해버린다거나 상위직급자가 어떤 이야기를 할 때 무조건‘네, 좋습니다.’라는 식의 분위기는 브레인스토밍을 무력하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브레인스토밍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그야말로 계급장을 떼고 해야 한다. 둘째, 질보다는 양에 관심을 갖고 되도록 많은 이야기를 하도록 해야 한다.‘어떤 뚜렷한 방법이 없을까’라는 고민에 가장 가까운 정답을 찾기 위해 모두가 골똘히 생각에 잠겨버린다든지, 별 쓸모 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여 칠판에 기록을 안 한다든지 하는 것은 금물이다. 가급적 많은 이야기를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 속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을 모두 칠판에 적어 참가자들이 내 이야기도 칠판에 등록될 수 있다는 안도감을 주어야한다. 셋째, 먼저 나온 아이디어를 연상하여 또 다른 아이디어가 나오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자칫 어떤 참가자가 어떤 아이디어를 이야기할 때, 그것을 샘내거나 질투하여 무시해버린다거나 금방 다른 아이디어로 덮어버리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브레인스토밍에서는 먼저 나온 아이디어로부터 가능한 많은 것이 파생될 수 있도록 아이디어가 꼬리에 꼬리를 물어야 한다. 넷째, 기록자는 되도록 전문성이 많은 사람이 맡는 것이 좋으며 인원수가 적을 때는 사회와 기록을 겸해도 좋다. 나온 아이디어를 재빨리 요약해서 기록하여야 진행을 원활하게 할 수있고, 다음 발상을 촉진할 수 있다. 다섯째, 시간은 대략 한 시간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회의가 한 시간을 넘어가면 주의가 산만해지고 잡담으로 흐르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회의가 좀 더 필요할 때는 10분 정도 휴식을 취하고 나서 분위기를 바꾸어 진행하는 것이 좋다.
평가는 다음날 아침에
추출된 아이디어는 그 자리에서도 평가할 수 있지만, 가능하면 하루쯤 있다가 평가하는 것이 더 냉정하고 객관적일 수 있다. 어젯밤에 회의할 때는 빅 아이디어라고 생각되던 것이 다음날 아침 다시 생각하면 매우 유치하게 생각될 수도 있고, 반대로 처음엔 별로라고 생각되던 아이디어도 다시 한번 맑은 정신으로 검토했을 때 반짝반짝 빛이 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평가의 단계에서는 독창성, 실현가능성, 효과 등의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이때가 되면 비판을 허용하여 철저하게아이디어를 숙성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 단계에서 아이디어끼리 결합되며, 높은 수준의 아이디어가 새로 생긴다.
멤버의 선정
브레인스토밍 회의에 참가할 멤버의 선정은 비슷한 입장이나 동일한 입장에 있는 사람으로만 편중되면 곤란하다. 전문가, 일반인은 물론 연령, 경험 등을 고려하여 되도록이면 서로다른 입장에 있는 사람들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자유로운 발언을 봉쇄하는 경향이 있는 권위주의적인 상사를 멤버로참여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많은 아이디어가 나오므로 몇몇 사람은 중도에 안심하고 발상을 중단하는 예가 있는데사회자가 특정인을 지명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도 효과적이다.한 사람이 갖고 있는 발상의 한계를 뛰어넘어 생각의 눈덩이를굴리는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발상법, 그것은 광고 현장은 물론 아이디어가 필요한 그 어느 곳에서나 유용하게 이용될 수있는 생각 꼬리물기임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