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09.10 |
[테마기획] 한글 6
관리자(2009-10-09 16:47:12)
한글은 우리 미래의 동력 정원수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21세기의 인류사회는 이제 문명의 이기인 컴퓨터와 휴대폰, 그리고 인터넷의 영향으로 인해 물리적 개념의 국경선이 사라지고 전 세계가 하나의 권역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연스럽게 어느 나라어느 민족이든, 고립하여 존재하기 힘들게 되었으며, 우리 인간의 삶도 이웃나라와 대립하는 관계를 넘어서 상호 교류를 통해 공동체적 삶의 울타리를 형성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문화가 서로 교류하고 교환됨에 따라 삶의 방식과 형태가 유사해지면서 의사소통의 원활함이 추구되는것 또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인류사회의 이러한 새로운 삶의 패턴을 바꾸고 그 틀을 든든히 해주는 변화의 한 복판에 언어와 문자가 자리하고 있다.한글의 세계화, 한글 대응 표기를 통해 이룰 수 있다오늘날, 영어가 국제어의 위상을 점하였다고는 해도 영어를 표기하는 문자인 로마자알파벳이 전 세계 모든 언어를 표기하는 공동문자로 자리매김하지는 못하였다고 할 수있다. 그 이유는 로마자 알파벳이 우리 한글 알파벳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자적 결함을더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소수종족이라 하더라도 그들의 다양한 언어가 다원화된 문화를 표상하게 하고 그들의 언어가 문자의 옷을 입고 문명의 세계로 나아오게 하는 일은 앞선 문화를 발전시켜 온 선진국들의 몫이라고 하겠다. 특히 훌륭한 문자인 한글(훈민정음)을 가진 우리는 이제 새로운 인류문명을 개척하고, 인류문화 창달에 이바지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세종대왕이 창제하신 한글이라는 문자는 디지털 문명시대를 맞이하여, 이제 인류의새 미래문명을 개척하면서 문화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의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또한“문화원형(culture archetype)”의 위상을 정립하였다. 즉, 한글이라는 문자는 로마자 알파벳을 제치고 명실상부한‘세계문자’로 부상할 때가 되었다고 본다.한글이 세계 문자가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거쳐야 할 단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소수민족들이 사용하는 무문자 언어들을 한글로 표기하는 작업은 그들 언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이뤄질 수 있지만, 난문자를 사용하는 중국어를 포함하여 힌디어를 포함한 인도의 여러 언어들, 아랍어, 태국어 등은 이미 그들만의 독특한 문자가 있기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그문자를 한글로 대응 표기하는 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다.특히 한자가 표기문자로 사용되는 중국어의 경우, 이미‘한어병음자모’라고 하는 로마자 알파벳이 중국어의 발음기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만한 발음기호 차원에서의 한글의 위상을 정립하는 것이 일차적 과제라고 본다.중국어 표기 문자인 한자를 한글로 적는 방법이 고안되고 그 한글이 중국어의‘제2의 한어병음 자모’로 정착된다면, 한자를 많이 알지 못하는 우리나라 어린이들과 청소년들, 그리고 어른들이 중국어를 빠르고 쉽게 배울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을 것이다. 중국어를 한글로 적은다음의 단어들과 문장들을 살펴보자.중국어 단어􄤋마마10(엄마), 바바40(아빠), 31(선생님), 40(예쁘다), 취4(가다), 4(-이다),애4(사랑하다) 4(이, 이것, 이분), 워3(나), 니3(너), 한3(좋다), 날3(어디), 1(참,매우), 2(누구), 왕2(왕), 펑 20(친구), 머20(무엇), 뎬난43(컴퓨터)더0(-의), 마0(-습니까?, -요?), 신녠한123(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오른쪽 아래 숫자는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성조가 몇 성인지를 표시하고 있음.중국어 문장􄤋니 한! (안녕!)니 취 날? (너 어디 가니?)니 마마 바바 티 한마?(네 엄마, 아빠 건강하시니?)워 애 니. (나는 너를 사랑해)(얘는 누구니?), 워더 펑 . (선생님, 얘는 제 친구입니다.)니 !(너 참 예쁘구나!)머?(이것은 무엇입니까?)발음 약속 : (성모)ㅇㅈ=zh,ㅇㅊ=sh,ㅇㅅ=sh,ㅉ=z,ㅅㅈ=c,ㅆ=s,ㆄ=f,ㄹㄹ=I,ㄹ=r: (운모)애=ai, 에=ei, =ao, =ou, =yao, =you, =yue, =yuan성조 약속 : 숫자 1=1성(고평조 ), 2=2성(상승조 ), 3=3성(저굴곡조∨), 4=4성(급하강조 ),0=경성우리는 중국어를 적은 위의 단어와 문장처럼, 우리 글자인 한글을 수단으로 하여 중국어를 쉽게 잘 익힐 수 있다.한어병음자모라는 로마자 알파벳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공부하는 기존의 방법에서 과감하게 탈피할 때가왔다고 본다. 이제 우리는 방법을 바꿔서 당당하게 우리 글자인 한글로 중국어 발음을 적고 공부하자는 것이다.어쩌면 중국이 몇 년 내로 로마자 발음기호(한어병음자모) 대신에 우리 한글 문자를 그들의 발음기호로 채택할지도 모를 일이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이야기하자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중국 어린이들의 국어(중국어) 교육을 위해서 한글이 원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중국은 교육의 수월성 제고를 위해, 과감하게 또 다른‘교육혁명’을 시도할 수도 있다고 본다.그렇지만 어디까지나 처음에는 중국어를 적는 발음기호(제2병음자모)로서의 한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할필요가 있다. 섣불리 중국어 표기 문자라는 식의 목소리를높이면 절대로 안 된다는 것이다. 지혜롭게, 중국인들의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즉, 우리가“너희들의 한자 교육을 위해서는 우리 한글이 로마자 병음자모보다 더 좋지 않으냐? 그래서 이제 로마자 대신 우리‘한글’을 한자의 발음기호로 사용해 보면안 되겠니?”하는 시각과 자세를 유지하면, ‘실용주의’(흑묘백묘론)를 강조하는 중국인들은 머지않아 반드시 한글을받아들일 것이라는 것이다.국어교육이 중심이 되는 외국어 교육을 실현하라그리고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교육의 방법론과 교과 과정의 개편을 통해 <국어교육이 중심이 되는 외국어 교육의혁신>을 기할 때도 되었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으로 말해,한자로 표기되는 중국어를 한글로 적어서 공부하면 훨씬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앞에서 강조하였는데, 우리는 일본어의 경우도 한글 표기를 통해 훨씬 교육의 수월성과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고 본다. 초등학교 저학년때부터 한자를 익히면서 중국어와 일본어를 함께 가르칠수 있다. 즉, 중국어와 일본어의 한자(어) 발음을 모두 한글로 표기하여 가르침으로써 우리는 외국어 교육의 일대 혁신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중일 공용 한자와 그 발음 표기 한글의 유니코드(unicode) 제정>의 문제도 우리가 서둘러야 할 당면 과제라고 하겠다.우리는 중국어나 일본어뿐만 아니라, 영어, 스페인어, 독일어, 불어처럼 로마자 알파벳 표기 언어들도 한글로 표기하여 제대로 가르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coffee, monkey, like, love, run 등 은 각 각‘ ㆄㅣ, 키, , , ’으로 적으면 정확히 발음할 수있다.“ Do you have some doffee?”라는 문장은“두 유ㆄㅣ”?라고 적고,“ I love you”라는 문장은“아이유”라고 적을 때 비로소 정확히 발음할 수 있는 것이다.바꿔 말해서‘영어’라는 언어의 음운체계를 정확히 적을수 있는 문자로서는‘로마자’보다‘한글’문자가 더 적격이라는 사실이다.한글의 세계화, 발상의 대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한글의 세계화’와‘IT/CT 기술의 육성’이라는 두 주제를 큰 틀에서 묶어 보면,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성장 동력 산업을 일으키고, 나아가우수한 글로벌 청년 인력들을 대량으로 양성할 때가 되었다는 판단을 하게 된다. 한글을 기반으로 한 첨단 기술을개발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만들 수 있다.중국어나 인도어, 아랍어, 영어, 일본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등을 한글로 입력하고 이들 언어 표기문자로 변환시켜 주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가정해 보라. 이 프로그램이 장착된‘한글 휴대폰’과‘컴퓨터’등이중국과 인도, 아랍권으로 대량 수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는 한글을 바탕으로 한 첨단 음성인식 기술이 컴퓨터, 휴대폰, 자동차, 로봇 등에 소용될 때, 이들 기기들은지금의 것보다 한 차원 높은 인공지능형 기기들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한글의 세계화’는 그야말로 한글이‘온누리’한글이 되도록 하자는 것이다. 발상의 대전환을 가져올 때가 되었다.그 표기 문자가 있건 없건, 전 세계 6,900 종의 모든 언어들을 조사·연구하여 이 모든 언어들을 한글로 표기하는작업에 들어가야 한다. 한글의 주인공인 우리는 이제 새 천년의 시대를 맞이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세계를품에 안으면서 새로운 인류 문명사를 창조해 나갈 주역이되어야 한다고 주창하는 바이다. 정원수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사를 수료한 뒤 동 대학원 문학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4년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2009년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임 중이다. <어문연구학회 학술상>과 <한글선양 공로상>을 수상한 바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