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9 |
[환경] 초록이 넘치는 생생삶
관리자(2009-09-03 13:58:32)
지구를 살리는 착한 수돗물
- 수돗물 안전을 넘어 품질로 승부해야 -
이정현 전북환경연합 정책기획국장
“수돗물에서 흙냄새가나요”, “곰팡이 냄새가 나는 것 같기도 해요”. 얼마 전 전주시에 빗발친 항의전화다. 이 같은 민원에 수자원공사 전북본부는 발 빠르게 상수원 취수구를 수심 15m 대로 낮추고 취수탑 주변에 조류 방지막을 치고 하루 4~6톤 가량의 활성탄을 투입했다. 하지만 긴급 조치로 냄새를 잡아가는 닷새 동안은 어쩔 수 없이 수돗물 냄새를 맡아야 했다.
냄새의 원인은 식물성 플랑크톤 대규모 번식
수돗물 냄새의 원인은 전라북도 130만 도민의 상수원인 용담호에 여름철 장마 비로 축산분뇨나 농약 비료, 쓰레기 등 빗물 오염원이 흘러들면서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대거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식물성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질소나 인은 이들이 대규모로 번식하는 조건을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냄새의 원인인 물질이 발생한다. 이 냄새들은 먹는 물 수질 기준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시 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나 시민들이 수돗 물을 기피하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다. 또한 수돗물 품질 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 고질적인 문제다. 생수보다 높은 수돗물 안전 기준 국내 수돗물 기준은 생수보다 엄격하다. 생수는 47가지 검사 기준을 충족하면 되지만 수돗물은 염소 기준치가 포함 되어 55개 항목의 기준치를 통과해야 한다. 게다가 환경부 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먹는 물의 안전성과 신뢰 확보를 위해 약 20여개의 항목을 추가하여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냄새 의 원인이 되는 물질 역시 내년부터 감시항목으로 지정될 예 정이다. 상대적으로 지하수로 만든 생수와 정수기 시장이 급성장 했다. 연간 생수 시장은 4천억 대에 이르렀고 성장 속도가 워낙 빨라 몇 년 안에 2조원에 이를 거라는 분석이다. 정수 기 시장 역시 마찬가지다. 가난했던 시절 부의 상징, 근대화 의 상징이었던 수돗물이 순식간에 소비자로부터 외면을 받 게 된 것이다. 물론 낮은 수돗물 음용율은 그냥 마시는 비율일 뿐이다. 거의 대부분의 국민들은 여전히 밥을 짓거나 국과 찌개를 만 들고, 보리차를 끓여 시원하게 마신다. 여전히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근간이다. 지구를 살리는 착한 수돗물 뿐만 아니라 수돗물은 지구가 직면한 환경문제를 최소화 하는 실천적인 대안이다. 생수 사용이 늘면서 지하수 고갈이 심각해지고 있다. 맑은 물이 흐르던 하천이 마른 하천이 되 고 농업용수가 부족을 불러온다. 생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 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같은 양의 수돗물과 비교하면 무 려 600배의 이산화탄소를 더 배출한다. 생수는 포장과 운반 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지는데 600ml 기준 플라스 틱 물병을 만드는데 200ml의 석유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또 한 멀리 북구 유럽에서 만들어진 생수들이 먼 나라로 수출하 는 과정에서 탄소 마일리지가 많기 때문이다. 정수기 역시 24시간 가동되기 때문에 전기 소비량이 많 고 필터는 난분해성 물질로 이뤄져서 재활용이 되지 않아 환 경에 좋지 않다. 플라스틱 생수 판매 중단 결정 수돗물은 콜레라 장티푸스 등 각종 수인성 질병을 크게 감 소시켜 인류의 수명을 연장시킨 공적뿐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지구온난화 실천사업의 의미도 크다. 호주 뉴사우스웰즈 주 남서쪽에 위치한 Bundanoon 지역 은 세계 최초로 플라스틱 생수 판매를 전면 금지했다. 자연 환경 훼손과 지구온난화를 염려하는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내린 결정이었다. 주정부는 모든 공공청사에서 생수를 없애 고 수돗물을 마시겠다고 화답했다. 위기는 기회다. 수돗물이 안전하다고, 먹는 물 수질 검사 항목이 생수보다 많다고 강변하는 것만으로는 수돗물에 대 한 도민들의 불신의 벽을 넘기 어렵다. 염소 냄새, 조류 번식 에 의한 냄새를 최소화하는 품질 개선만이 수돗물의 음용율 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수돗물은 지구를 살리는, 지구 온난화를 극복하는 실천적 인 대안으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다. 수돗물을 생산하는 자치단체나 수자원공사는 이 기회를 잘살려 시민들로부터 수돗물에 대한 신뢰를 얻기 위해 품질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 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