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01.5 | [문화가 정보]
[미리보는 문화현장] 백년 세월을 너머 묻는 오늘의 의미 동학농민혁명 107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황경신 문화저널 기자(2003-04-07 15:51:14)
점령이후 집강소를 설치하여 패정개혁안 등을 내걸고 근대적인 개혁을 단행한 동학농민혁명은 20세기 동북아시아 질서재편의 한 기점. 이러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동학농민군 전주성 입성일을 기념하는 '동학농민혁명 국제학술대회'가 마련한다. 동학농민혁명의 전망과 대안을 모색해오고 있는 사단법인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와 동아시아 평화·인권국제회의 한국위원회가 5월 31일부터 6월 2일까지 전주 코아리베라호텔에서 마련하는 이번 대회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 북한(교섭중)의 역사학자들이 참석해 '동학농민혁명의 21세기적 의미'를 찾아나선다. 1·2·3부로 나누어 진행되는 이번 대회는 '동학농민혁명과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 '동학농민군이 꿈꾼 세상', '일본제국주의와 동아시아인의 인권', '동학농민혁명의 21세기적 계승전략'의 주제로 강연 및 발제(표 참조)가 이루어 진다. 학술대회 기간에는 완산칠봉, 풍남문, 경기전, 객사 등 전주유적지와 대둔산·우금재 전투지 답사와 동학농민군 전주입성 재현축제, 문화행사가 함께 열린다. 또한 행사기간에는 동학농민혁명 전개과정 자료·사진 전시, 관련 영상물 상영이 전주 객사에서 상설로 선을 보이고 전통매듭, 날염, 가죽공예를 체험하는 시민 한마당도 준비돼 있다. 자세한 것은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063-232-1894로 문의하면 알 수 있다./황경신 기자 <학술대회 일정-표> 6월 1일 1부:동학농민혁명과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 기조강연(정창열 한양대 교수) 1. 동학농민혁명의 한국근대사적 의미(서울대 교수) 2. 청의 조선 '속방화' 정책과 동학농민혁명(김정기 서원대 교수) 3. 동학농민혁명의 세계사적 의미(북한학자 교섭중) 5. 청일전쟁과 동아시아 질서 재편(중국 북경대 교수) 2-1부:동학농민군이 꿈꾼 세상 1. 농민군이 바라던 대동 세상( 일본 치바대 교수) 2. 문학에 그려진 농민군의 이상(최원식 인하대 교수) 3. 동학농민혁명의 여성해방(김정인 서울대 강사) 4. 북한지역의 동학농민전쟁(북한학자 교섭중) 2-2부: 일본제국주의와 동아시아인의 인권 1. 일제의 농민군 진압과 남한대토벌(일본 북해도대 교수) 2. 남경학살(중국 북경대 교수) 3. 일제 강점기 한국민의 전쟁동원 및 수탈(강창일 배재대 교수) 4. 일제의 오키나와 황민화(일본 오키나와 기독교단시대 교수) 5. 일제의 대만 식민지정책(일본 동경경제대 교수) 6. 아이누민족의 고난의 역사와 투쟁(키타가와 시미코 일본 아이누민족운동가) 6월 2일 3부:동학농민혁명의 21세기적 계승전략 1. 중국의 근대혁명축제와 계승전략( 대만 2. 태평천국 기념관의 설립과정과 전시주제(중국 북경대 교수) 3. 동학농민혁명 인식의 변화와 과제(이진영 정부기록보존소 학예연구사) 4.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현주소(박준성 역사학연구소 연구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