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05.1 | [특집]
새로운 산업을 꿈꾸는 도시
김상화 부산독립영화협회 대표(2005-01-07 18:10:32)
흔히들 부산은 우리나라의 제2의 도시라고도 하고, 국제항구도시라고도 한다. 더불어 부산을 ‘문화의 불모지’라 스스로 불렀다. 불과 십년전만해도 그랬다. 많은 수식과 국내에서 부산이 차지하는 위상을 스스로 치켜세우려 애를 써도, 부산이 번영(?)해 갈 대안은 그리 순탄하지만은 않은 듯하다. 들머리에 이렇듯 힘없는 얘기를 앞세우는 것은 산업 중에서도 문화산업을 대안으로 삼자고 함에도 불구하고 문화에 대한 생각의 차이가 너무나도 크고 다르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다. 부산국제영화제(PIFF)가 성공하였다는 말에 딴죽을 걸고자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서울도 아닌 부산에서, 문화의 불모지인 부산에서 국제영화제의 성공을 점치는 사람은 매우 적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부산국제영화제를 통해 각 지역에 나름의 영화제를 차례로 확산시켰고, 그것이 부산의 이미지 전체를 바꾸어 나갔다. 그로부터 ‘문화의 불모지’라는 인상을 스스로 걷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부산을 그렇게 보지 않게 되었다. 또 부산을 ‘영화도시’라 말하는데 주저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부산은 과연 ‘영화도시’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아직은 ‘아니다’가 맞을 것이다. 여기서 ‘아직은’ 이라는 단서는 부산이 스스로 영상산업을 시정책사업의 주요한 항목으로 내세우고 있음에 주목하고 희망을 갖고 싶은 것이다.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 이후 부산이 영상산업이란 새로운 일거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다양한 일을 해왔다. 때로는 중앙정부의 의지와 추진력에 힘입어 억지춘향을 하기도 하였고, 때로는 스스로 살기위해 정책으로 삼아 대안을 찾기도 하였다. 부산국제영화제 이후 부산영상위원회를 만들고 영화 찍기(로케이션)를 부산에서 하도록 하여, 많은 영화들이 부산에서 부분적이긴 하나 찍어가고 있고, 영상벤처타운을 만들어 영상관련 업체를 육성하려 애쓰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계획도 다양하게 내놓고 있다. 이 덕분에 영화제와 영화찍기를 통한 생산유발효과는 천억 원이 넘는 통계치를 내고 있다.(삼성경제연구소) 이에 따라 부산의 4년제 대학 대부분이 영화 관련과를 신설하여 인력 배출에도 부족함이 없다. 여기에 힘입어 부산시는 ‘부산영상센터’를 통해 영화를 통한 또 한번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부산영상센터’는 총 8천 평의 규모에 부산국제영화제 전용상영관과 영상문화관, 전시관, 미디어센터 등의 시설을 갖출 것이다. 이 시설을 통해서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정책적인 효과를 상당히 기대하고 있다. 좀 더 자세히 보면, 첫째로 ‘부산영상센터’는 부산시의 디지털미디어존(DMZ)이라는 부지 내에 지어지는데, 470여억 원을 투입하여 2008년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부산광역시) 설립 의의로 ①부산국제영화제의 핵심 인프라(PIFF의 안정적 개최, PIFF의 위상제고, PIFF의 효율성 제고 및 발전 도모) ②부산영상클러스터의 한 축(영상클러스트의 혁신 주체인 전문인력 양성, 클러스터의 핵심인 네트워크 강화, 독립/예술영화의 저변확대)을 들고 있다. 경제효과로 생산유발효과 431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가 406억원, 고용유발효과가 7,237명에 이른다고 한다.(삼성경제연구소) 두 번째로 ‘후반작업기지’ 또한 같은 지구에 만들자고 하는 것이다. 건립 의의로 부산지역 촬영유치와 영상관련 기업의 부산 입주를 통해 부산영상클러스터를 구축하려 한다. 또,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 및 시설과 인력이 도입되어 국내 후반작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디지털부문에 집중적인 투자와 인력양성으로 단기간 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조성규모는 2,100평 규모에 현상소, 편집실, C.G실, 사운드실, 기타 시설을 430여억 원을 투입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를 통한 경제 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64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가 153억원, 고용유발효과가 1,106명에 이르게 할 것이라고 한다.(부산영상위원회 영상산업연구소) 세 번째로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을 통해 디지털 영상 분야의 육성으로 디지털콘텐츠 분야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고, 정부의 각종 지원 사업에서 부산의 각 대학들이 집중하고 있는 것도 이 분야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아시아영상산업허브’로써 지자체와 관련기업 그리고 대학 및 연구소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비전을 가진다는 것이다. 앞에서 말한 것들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정말이지 부산은 “부산영화산업을 꽃피우게 하며 국내 후반작업 수준의 질적 상승, 지역경제의 활성화, 지역인력 유출방지, 서울에 집중된 영화산업 지방분권화 등에 기여하게 될”(부산영상위원회 영상산업연구소)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몇 가지를 짚어보자. 첫째로 부산국제영화제를 통해 철저한 대중문화로써의 영화를 소비하는 일이 확대되어 스크린의 수가 급격하게 늘었다. 그 결과로 남포동을 중심으로 있던 개봉관이 서면, 해운대, 구포, 부산대학교 부근, 경성대학교 부근 등지로 확산되고 있다. 영화를 소비하는 장은 늘었지만, 반대로 영화에 대한 다양한 향유형태는 균형이 깨져 있다. 단편영화제나 독립영화제, 장애인인권영화제, 국제어린이영화제, 청소년영화제 등의 장르영화제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늘 부산국제영화제가 외에 장르 영화제의 필요에 의문을 가지는 한 부산지역의 문화 인프라는 확대되기 어려울 것이다. 둘째로 후반작업기지 조성 등으로 아시아영상산업 허브를 꿈꾸고 있다면 그에 대비한 인력을 적극 개발하여야함에도 그러한 계획의 대부분이 서울에 적을 두고 있는 연구진들에 의해 만들어 지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인력개발을 늘 얘기하면서도 외부인력에 기댄 연구는 지역이라는 구체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연구진들의 능력 또한 공모가 아닌 일부에 의한 선택적 채용이라는 점에서 전문성과 공공성 및 연구의 질에 신뢰를 갖기 어렵다. 이는 후반작업기지 조성에서 막대한 예산이 들어 갈 필름현상소를 산업동향의 추이를 부정확하게 함으로서 향후 사양산업에 투자 할 가능성이 높은 제안을 하는 등의 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후반작업기지 조성을 주도하고 있는 부산시는 필름현상소 유치와 관련한 몇 차례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 책임 있는 행정을 펼쳐야 할 것이다. 셋째로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뿐만 아니라 각 공공시설들에서 마련하는 시설과 기자재 등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논의 없이 경쟁적인 투자가 가져오는 중복투자와 운영예산 확보도 없는 사업으로 시설과 기자재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경우를 잘 살펴야 할 것이다. 지면의 한계상 요약하고 비약하면 가게만 있고 공장은 없는 꼴과 다르지 않다. 끝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영상문화 정책은 기념비적 사업에 엄청난 예산을 쏟아 붓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상예술행사, 다채로운 영상미디어교육,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영상체험 교육 등의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이를 통해 살기 좋은 문화도시로 만들기 위한 정책 비전을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영리적인 사업 마인드나 산업정책 일변도의 접근보다는 문화정책과 교육정책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면서 영상문화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장기적인 정책적 판단과 지원이 필요한 것이다. 즉, 문화 인프라 없이 그 어떤 문화사업도 있을 수 없음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김상화 | 1962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현재 부산예술대학 만화예술과 교수로 일하고 있으면서 부산독립영화협회 대표,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 등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