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01.6 | [문화비평]
텔레비전의 '여성 편견' 열 한가지
김선남(2003-04-07 13:57:29)
텔레비전은 공적이고(public), 신속하며(rapid), 순간적인(fleeting) 속성 때문에 막강한 사회적 영향력을 갖는다. 텔레비전의 사회적 힘에 대한 논의는 주로 '텔레비전이 얼마나 현실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반영하는가',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노력을 얼마나 하는가'에 집중되었다. 텔레비전의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논의는 '성(性)'과 관련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그 역할에 대한 평가는 대단히 부정적이었다. 즉 텔레비전은 여성의 현실을 그렇게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반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남녀 평등한 사회를 조성하기 보다는 오히려 성 차별적 사회를 만드는데 앞장선다는 것이다. 여성에 관한 텔레비전의 편견 열 한가지는 다음과 같다. 편견1 : 사랑 받는 여자가 성공한 여자다. 텔레비전은 여성을 남편과 아이의 충실한 후원자이거나 보조자여야 하는 것처럼 그려낸다. 아침 토크쇼, 드라마는 주요 소재로 '남편의 관심 끄는 법', '남편과의 갈등 해소법' 등을 설정한다. 텔레비전은 여성의 정체성을 가족 안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것으로 암시하고 여성의 성공은 현모양처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할 때 실현되는 것처럼 묘사한다. 편견2 : 남자 잘 만난 여자가 최고다. 텔레비전은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조장한다. 모든 프로그램은 일 잘하는 여자보다는 사랑, 결혼 잘하는 여자를 최고로 부각시킨다. 따라서 적극적으로 자아를 계발하거나 강한 자립심을 소유한 여성을 바람직하지 않은 존재나 악녀로 그려낸다. 텔레비전은 여성들로 하여금 자립적이고 능동적으로 사회적 성공을 성취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과 심리적인 저항을 주입시킨다. 편견3 : 가꾸지 않는 여자는 여자가 아니다. 텔레비전은 몸 가꾸는 것을 여자의 최고의 덕목으로 부각시킨다. 텔레비전은 '화장 잘하는 법', '옷 잘입는 법' 등을 주요소재로 하여 아름다움과 젊음을 잘 유지한 여성을 자기 개발과 자기 관리에 성공한 것으로 묘사한다. 결국 텔레비전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외모 가꾸기'를 가장 중요한 인생의 목표로 삼도록 강요한다. 편견4 : 여자의 적은 여자다. 텔레비전은 여성의 적을 여성으로 설정한다. 텔레비전은 모든 드라마에서 여성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여 이들간의 적대적 관계를 설정할 뿐만 아니라 여성이 권력을 놓고 경쟁해야하는 대상은 결국 여성임을 강조한다. 드라마의 남녀관계는 삼각, 사각구도로 설정되어 여성들끼리 물어뜯는 것을 보여주며 고부간의 관계도 극단적인 형태의 갈등관계로 묘사된다. 편견5 : 착한 여자가 사랑 받는다. 텔레비전은 순종적이고 유순한 여자를 '착한 여자'로 그리고 사랑 받는 여자로 설정한다. 텔레비전은 여자들을 착한 여자 콤플렉스에 빠지게 만들어 여성시청자들로 하여금 타인의 눈을 의식하여 착하고 귀여운 여자라는 인상을 심어주기 위하여 늘 자신의 욕망과 개성을 희생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편견6 : 여자는 심심풀이 땅콩이다. 텔레비전은 여성을 진지하게 다루지 않고 마치 장식품이나 눈요기 감을 대하듯 하는 경향이 있다. 뉴스는 그 실태를 고발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자들의 복잡한 여자관계를 클로즈업하여 '모든 사건(범죄) 뒤에는 여자가 있다는 식'으로 구성한다. 또 아내구타, 성폭력 등과 같은 사건보도도 피해여성의 사생활을 폭로하거나 그들의 얼굴이나 몸을 선정적으로 클로즈업한다. 편견7 : 여자는 수다스럽고 변덕스럽다. 텔레비전은 여자를 수다스럽고 변덕스러울 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성격의 소유자로 그려낸다. 예를 들면 드라마는 여성들을 신중한 판단이 없이 즉흥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방정맞은 존재로 규정하거나, 우스꽝스러운 존재로 묘사한다. 편견8 : 여자가 원인 제공자다. 텔레비전은 여자를 모든 갈등의 원인 제공자로 규정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뉴스, 드라마는 모든 사건, 사고의 원인을 여성의 실수, 어리석음에서 찾기 일수이다. 따라서 텔레비전은 피해여성을 마치 원인 제공자인 것처럼 비난하기 일수다. 편견9 : 여자는 만능인 이다. 텔레비전은 성공시대 등과 같은 다큐멘터리, 토크프로그램, 드라마 등과 같은 프로에 슈퍼우먼을 등장시켜 여성은 만능인이 될 것을 강요한다. 프로그램들은 성공한 여성들을 등장시켜 그들이 사회적 성공과 가정적 성공을 어떻게 잘 꾸려가고 있는지를 부각시킨다. 평범한 여성시청자들은 늘 텔레비전이 강요하는 슈퍼우먼 콤플렉스에 쌓이게 된다. 편견10 : 자아가 강한 여자는 악녀다. 텔레비전은 자아실현을 하려는 욕구가 강한 여자를 부정적으로 그리거나 나쁜 여자로 묘사한다. 때로는 자아가 강한 여성의 삶이 매우 불행한 것으로 그려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여성시청자들로 하여금 사회적 성공은 개인적인 불행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갖도록 하여 자아개발 보다는 결혼, 사랑을 선택하도록 강요한다. 편견11: 벗는 여자가 아름답다. 텔레비전은 여성을 성적 대상, 엿보기의 대상으로 삼아 여성의 노출을 강요하는 경향이 있다. 연예오락 프로그램, 드라마, 심지어 뉴스까지도 여성의 벗은 모습을 부각시켜 눈요기의 대상으로 전락시킨다. 이러한 경향은 사회전체에 관음주의를 보편적인 것으로 인식시켜 이를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