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04.8 | [건강보감]
여름에 먹는 보약은 효과가 없을까?
최환석 / 충남 현대한의원(2004-08-12 06:20:11)
사람들이 흔히 잘못 알고 있는 몇 가지 한방 상식을 바로잡고자 한다. Q : 여름에 먹는 보약은 효과가 없다는데? A : 흔히 여름에는 보약을 먹어도 땀으로 빠져나가 소용이 없다고 생각하는데 실상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열과 땀이 많이 나서 체력소모가 큰 여름철에는 보약을 먹어 원기(元氣)를 회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여름에는 더위나 땀으로 기(氣)가 탈(脫)하여 소위 여름을 타는 수하병(蒐荷病)과 일사병들이 잘 발생하므로 원기를 도와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Q : 보약을 많이 먹으면 죽을 때 고생한다는데? A : 보약이란 신체장기의 허약한 부분을 보강하고 원기를 북돋아 주는 것인데 보약을 먹고 건강을 되찾았다고 해서 죽을 때 고생한다면 건강한 노인은 죽을 때 고생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보약으로 건강을 회복한다면 더욱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습니다. Q : 한약과 무를 같이 먹으면 머리가 희어진다는데? A : 모든 한약을 먹을 때 무를 금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보혈?보정약으로 쓰이는 숙지황이라는 약이 들어갈 때만 금하면 됩니다. 숙지황이 들어있지 않은 한약이라면 무를 먹어도 상관없습니다. Q : 임신중에 한약을 먹으면 안 되는 것입니까? A : 임산부라면 약물복용에 신중을 가하셔야 합니다. 임신 중에 먹어서는 안 되는 약도 있지만 한의사의 진찰을 받고 적합한 처방으로 지은 한약이라면 오히려 태아를 안전하게하고 견고하게하며 산모를 건강하게 하여 순산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Q : 사슴과 자라피는 정력제인가? A : 사슴과 자라피는 정력제라기보다는 보혈제입니다. 과로나 산후빈혈로 어지럽고 손발이 저린 증상에 씁니다. 문제점으로는 피가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을 경우 오히려 건강을 해치게 되며 감염이 안 되었을 경우라도 매일 먹는 것이 아니라 어쩌다 먹는 것으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Q : 우황첨심환은 만병통치약입니까? A : 우황첨심환은 고혈압, 중풍 등에 사용하는 구급약으로 보약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특별한 증상 없이 장기복용 하거나 다른 질환에 사용하면 오히려 건강을 해치게 됩니다. 또 시판중인 우황첨심환에는 우황이나 사향 등 고가약이 들어 있질 않아 =============== Q : 어릴 때 녹용을 먹으면 머리가 나빠지나? A : 한 마리도 녹용은 어린이에게 먹이면 좋은 효과를 보는 보약이지 머리가 둔해지는 약은 아닙니다. 선천적으로 허약하게 태어났거나 후천적으로 유아 때부터 편식, 감기, 설사, 경기 등으로 발육이 부진할 때 인체의 저항력과 부족부분을 보충해주는 가장 뛰어난 보약입니다. 녹용은 소아의 체질과 증상에 맞게 사용한다면 아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보약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