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04.3 | [문화저널]
취재현장에서
.(2004-04-20 11:41:22)
하나의 막힘이 전체의 정체 가져온다 우리지역 예술대학의 신입생 경쟁률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고 한다. 요즘 같이 실업률이 높은 때에야 어느 학과를 가더라도 사정은 마찬가지겠지만, 예대를 졸업해서는 먹고살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재정자립도로 인해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이 충분치 못한 우리지역에서 예대 졸업생들이 갈 곳은 바늘구멍이나 다름없다. 전북의 각 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관립예술단체는 총 16개에 이르지만, 그중 어느 정도의 보수와 지위를 인정받는 상임체제는 절반인 8개에 그친다. 그나마 군산 같은 경우는 상임과 비상임이 혼재되어있고, 상임에 대한 대우도 가정을 가진 성인이 생활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란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우리지역 예대에 대한 신입생들의 발걸음은 점점 멀어져가고 있다. 심지어는 능력 있는 우리지역 예술가들이 척박한 환경에 의해 조건이 좀 더 나은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일도 다반사라고 한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지속되다가는 우리지역의 대학과 문화계로 연결되는 고리가 파괴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예대에 대한 학생들의 지원이 줄어들고, 우리지역의 실력 있는 연주자들이 계속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간다면, 결국 나중에 문화산업을 시행하려고 해도 재원이 없어서 일을 하지 못할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우려가 그것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자치단체는 예산부족과 시민들의 무관심을 이유로 당장의 커다란 변화는 어려워한다. 물론 일리 있는 말이다. 전국에서 재정자립도가 가장 열악한 전북의 각 자치단체가 2~3개의 관립예술단체를 운영한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예산이 부족하고 시민들의 참여가 부족하다 것이 관립예술단체에 대한 지원을 게을리 하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문화사업은 단순한 경제논리로만 평가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시민들의 무관심에 대한 부분도 관립예술단과 함께 자치단체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다. 시민들의 참여 부족이 예산 확충의 걸림돌이 될 수는 없다. 시민들이 문화를 적극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해주는 것 또한 자치단체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먼 미래를 내다보는 문화정책에 대한 마인드가 아쉽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