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1997.10 | [문화저널]
음식물 쓰레기는 재활용 자원이다
글·손희정 문화저널기자 (2004-02-12 16:46:52)
침출수로 인한 토양과 수질의 오염원, 악취의 주범, 소각장에서의 수분으로 인한 연료 과다소모와 다이옥신 다량 발생원인. 우리는 이와같은 환경오염의 ‘범인’을 적어도 하루에 한봉지씩(?) 양산해내고 있다. 인체에 해로운 다이옥신 다량발생 파문으로 불거진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자칫 미봉책으로 해결하려다가는 환경전쟁을 피할 수 없다는 강력한 경고를 던져준다. 연간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38%를 차지하고 8조원어치나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이제 더 이상 정부가 도맡아야 할 몫이 아니라 멀지 않은 미래에 자신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사회전체의 문제로 급하게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하루평균 4백55톤이 어디로? 하루평균 4백 55톤의 음식물 쓰레기가 도내 각 가정과 음식점 등에서 쏟아져 나온다.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다. 이들 음식물쓰레기는 우리 음식문화 특성상 물기가 많고 부패성이 커 수집·운반은 물론 처리에도 어려움이 많은게 사실이다. 그럼 이들 음식물 쓰레기는 어떤 방식으로 처리되고 있을까. 믿기 어렵겠지만 대부분이 매립, 소량의 쓰레기만이 소각되거나 재활용 처리되고 있다. 95년 기준 전주시의 경우는 음식물 쓰레기 전량을 매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쓰레기 매립장 건설을 둘려싼 자치 단체와 시민들간의 갈등을 놓고 보더라도 멀지않은 미래에 쓰레기 처리문제는 전량 소각되거나 재활용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에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현실적 처리방안으로 제안된 것이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와 자원화’방안, 이에 따라 전주시에서는 우선 각종 민간단체를 활용, 자율적으로 쓰레기 감량화 운동을 전개케 하고, 시민을 대상으로 현장교육을 실시하는 등 발생원에서부터 원천적인 감량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현재 1일 평균 연급식 인원 2천명 이상인 집단급식소의 경우 의무적으로 감량화 시설을 갖추도록 지시했다. 장기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체계를 마련하고 수집에서 운반, 부산물 수요 처 공급에 이르는 전 과정을 제도화할 방침이다.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방안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사료나 퇴비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먼저,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화 할 경우 처리 비용이 적고 사료로서의 가치도 대단히 높아 최적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처리와 보관이 가능한 점도 마찬가지. 그러나 쓰레기가 신선해야 하고 이쑤시게 등의 이물질이 없어야 하며 이 때문에 수거주기가 빨라야 하는 등 쓰레기 배출자가 세심한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 자치단체에서 이제도를 섣불리 실행하지 못하는 것은 이처럼 따라붙는 조건들이 많은 까닭이다. 식물영양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방안은 사료화의 경우와는 달리 섞여 들어온 이물질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며 이를 사용할 때 가장 합리적인 물질계 순환이 이뤄진다는 강점을 가진다. 그러나 아무렇게나 섞여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의 과다한 염분이 비료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문제가 수차례 제기돼 쓰레기 재활용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은 지렁이 사육방법, 경기도 여주군의 경우는 지렁이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일등공신이다. 지렁이는 먹성이 좋아 하루 자기 체중의 1.5배에 해당하는 유기물을 먹어치운 뒤 80%를 배설하는데 여주군에서는 군내 발생하는 17톤의 음식물 쓰레기 가운데 10톤가량을 지렁이를 통해 처리하고 있다. 이외에도 수원시 장안구에서는 하루 1.7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오리의 식사로 활용하고 있으며 광주시 광신구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고온에서 직열 건조해 사료로 만들어 아주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고 있는데, 없어서 못 팔 지경이다. 생활쓰레기를 줄여라! 도내 자치단체에서도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산해 내기위해 골치를 앓고 있지만 다른 시군에 비해 뾰족한 처리방안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그래서 시와 전북환경운동연합에서는 지난 7월 전주시내 6개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와 시민을 대상으로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생활쓰레기를 감량, 재활용 하자는 취지를 내세워 ‘생활쓰레기 반으로 줄이기 운동’을 벌이기에 이르렀다. 이번 운동은 환경의 중요성과 음식물 쓰레기 감량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 주부와 시민이 쓰레기 매립장과 퇴비화 시설, 재활용업체와 유기농장 등을 견학하는 등 실질적인 교육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감량화와 자원화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뜻있는 사업으로 자리를 굳혔다. 이번 교육에 참가, 모범지구로 선정된 서신동 비사벌 아파트 주부들은 교육을 실시하기 전인 6월부터 아파트 부녀회를 중심으로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운동을 벌여왔다. 시에서 무상으로 음식물 쓰레기 탈수통과 쓰레기 발효제를 공급하자 이에 힘을 얻어 시작한 퇴비화 운동은 이제 시의 도움없이도 척척 진행되고 있다. 지난 9월부터 아파트 관리실을 통해 1kg당 8백25원을 지불하고 발효제를 구입해 각 가정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것, 이같은 주부들의 쓰레기 감량운동은 앞으로 도내 각 지역으로 확산될 전망이어서 작지만 큰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제 시민들의 몫이다 지난 4월 대한주부클럽연합회 소비자 고발센터에서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 3백명과 전주시 소재 1백여개 음식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식조사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감량화 방안으로 음식문화의 변화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가정에서는 계획성 있는 식품구매(30.9%)를 실천하고 음식업소에서는 과도한 상차림을 개선(28.9%)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반적이었다. 또 아파트나 주택등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집단 수거, 재활용하겠다는 시의 정책적 제안에 대해서는 응답자가 96%가 참여하겠다고 답변했으며 음식업소에서도 정부보조가 있다면 46.9%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계를 설치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처럼 정책이 앞장서 이끌어줘야만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감량화 방안에 참여하겠다는 시민들의 수동적 태도로는 근본적인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가정과 음식점 등 배출원에서부터의 감량과 시민의 자발적 참여,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관건이다.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을 위해 시민들에게 주어진 과제는 바로 성상별 분리수거와 쓰레기 물기제거. 지난해 한해동안 생성발효 퇴비장에 반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엽채류, 과채류, 곡류, 어패류, 육류 등 다양한 부류의 쓰레기 들이 두루 섞여 있어 재활용이 어려웠던게 사실이다. 때문에 조목조목 꼼꼼이 분리수거하는 주부들의 세심한 손길이 요구된다. 이러한 감량화 방안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대책의 근본적 처방이 될 것이며, 그래도 발생되는 것은 자원화 함으로써 매립으로 인한 제 2차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 1년에 8조원 정도의 귀중한 자원낭비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찬가지수가 많고 국물이 많은 우리 음식문화, 푸짐한 음식대접..이제 시민들의 올바른 선택만이 남은 셈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