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04.1 | [특집]
불신의 늪에 추락한 민간위탁, 신뢰 회복이 탈출구!
김회경(2004-01-28 10:43:54)
<특집> 고심에 빠진 한옥마을 민간위탁시설 -편집자주- 불신의 늪에 추락한 민간위탁, 신뢰 회복이 탈출구! 민-관의 엇박자 행진을 보여온 한옥마을 문화시설이 지난 12월 전주전통문화센터 운영을 맡아온 우진문화재단의 ‘수탁 포기’ 결정으로 그 갈등이 절정에 달했다. 우진문화재단의 ‘전입금’ 납부 여부가 사태의 도화선이 됐다. 우진문화재단이 수탁자 공모 당시 전주시에 제출한 ‘사업제안서’ 상에 명시된 ‘전입금’ 명시가 법적으로 효력을 갖는 것이냐 아니냐를 놓고 전주시와의 지리한 공방을 벌이다, 끝내 우진문화재단이 틀어진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고 ‘중도 하차’를 결정하고 나섰다. 전주시는 이에 따라 황급히 3년 계약기간(잔여기간 1년 2개월)을 채울 새 수탁자 공모에 나섰고, 서울 한국의집 등을 운영하는 ‘베테랑’ 운영자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을 우선협약대상자로 결정했다. 이로써 지역 문화발전에 기여해 온 우진문화재단도, 문화시설 민간위탁을 야심차게 추진한 전주시도 ‘중도 하차’에 따른 불명예와 바람직하지 못한 선례를 남긴 셈이다. 우진문화재단의 수탁 포기 결정이 내려지면서 한옥생활체험관과 전통술박물관, 공예품전시관도 고심에 빠졌다. 전주시와의 불화와 갈등 면에서 전통문화센터와 별반 다르지 않은 상황인데다, 적은 예산과 인력 등 수탁 운영 환경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기 때문이다. 어지러운 형국을 맞고 있는 한옥마을 문화시설을 이번 특집을 통해 다시 들여다봤다. 기획 과정에서 수탁단체와 운영 실무자, 전주시의 입장을 서면질의로 받아보려 했으나, 수탁단체와 운영실무자들이 “언론 노출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전달함으로써 차질을 빚었다. 그만큼 수탁단체와 운영자들의 피해의식이 깊다는 반증이다. 전통문화센터 ‘중도 하차’의 원인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전주시-민간 수탁 운영자들의 관계 설정이 어떻게 이뤄져야 할 것인지 다시한번 곱씹었다. 신뢰 회복과 열린 논의구조의 확보, 구체적 매뉴얼의 정립, 남은 숙제는 확인한 셈이다. 이제 양측이 성의를 갖고 적극적인 자세로 만나는 일만 남았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