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03.12 | [저널초점]
문화 전문성 갖추기, 새롭게 변모한다
김회경 기자(2003-12-29 17:24:17)
오랫동안 다양한 문화사업 등을 진행하며 지역 문화의 전진기지로 자리잡아온 지역 문화원이 올 초 '개혁'의 회오리에 휘말리면서 한바탕 진통을 겪었다. 그동안 일부 지방문화원이 비합리적 절차에 의한 조직구성과 사업 운영상의 구태로 비난을 받아오자, 정부가 직접 나서 '문화원 개혁 방안'의 하나로 사무국장 교체를 개혁 카드로 들고나섰기 때문. 지방문화원은 1965년 '지방문화사업조성법'이 공포되면서 정부의 든든한 지원의 울타리로 들어왔다. 시대 흐름에 따라 그 사업 역시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는데, 초기에는 정부시책의 홍보처로 '관변단체'라는 오명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지역문화 보급과 전승, 향토사 연구 조사 등의 사업으로 집중하면서 사업의 전문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방 문화원은 총회를 거치지 않고 지역 원로에게 '명예직'으로 원장 직함을 부여하거나, 실질적인 업무 책임자인 사무국장 역시 원장의 추천으로 이뤄지는 등의 구태적 관행을 보임으로써 전문성을 떨어뜨린 게 사실. 이러한 관행은 일부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사조직'화로 사업 확정과 조직의 의사 결정 절차에 편법이 난무하는 등의 부작용을 낳았다. 문화관광부가 이러한 구태를 청산하겠다고 나선 것이 바로 문화원 사무국장 공개 채용 방식. 정부의 이같은 방침이 내려지자 기존 사무국장들이 반대 성명을 발표하는 등 거센 항의가 뒤따랐다. 박봉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뛰었던 사무국장들을 죄인 취급하며 하루아침에 내쫓는 정부 시책이 과연 올바른 것이냐는 항변이 그것. 그러나 이같은 반발은 여론의 공감과 설득력을 얻지 못했다. 그동안 일부 지방 문화원의 파행적 운영에 대한 비판과 시정 요구가 훨씬 깊게 자리하고 있었음을 입증하는 대목이다. 정부도 이같은 개혁안을 따르지 않는 시군에 향후 5년간 국고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밝혀 정부 스스로 개혁의지를 분명히 드러냈고, 전라북도 역시 지난 4월~6월 사이 전주문화원을 비롯해 완주, 진안, 무주, 고창, 부안문화원이 사무국장을 새롭게 교체하고 이같은 흐름에 동참했다. 사무국장이 교체되면서 전문인력을 통한 문화원 활성화에 활기를 몰고 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젊은 사무국장의 '의지'만으로는 문화원 내부의 기득권을 견제해 나가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만만치 않다. 조직 내부에서 스스로의 개혁 의지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사무국장 교체는 미봉책으로 남게 될 공산이 없지 않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