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03.12 | [저널초점]
성과와 과제, 한 단계 성숙의 기회될까
김회경 기자(2003-12-29 17:13:52)
전주세계소리축제 전면 재검토'라는 강현욱 도지사의 의중이 여론을 통해 전해지면서 올해 전주세계소리축제는 초유의 위기를 맞았다. 자치단체장의 의지와 성향이 맞물려 전 유종근 지사의 '결단'에 힘입어 대규모 축제로 기획된 전주세계소리축제가 자치단체장의 교체와 부정적 여론으로 '끌어내리기' 압박을 받으며 존폐여부로까지 논의가 확대됐다. 노무현 대통령을 통해 제기된 '재신임' 용어가 유행처럼 번지면서, 자치단체장의 '전면 재검토' 발언은 소리축제를 원점에서부터 새롭게 점검해봐야 할 것이라는 '재신임' 논란으로 이어졌다. '재신임'이라는 도발적인 질문이 던져지긴 했지만, 전주세계소리축제의 존폐를 자치단체장의 권한만으로 결정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과 함께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며 소리축제를 성장시켜야 할 것이라는 '옹호론'이 지배적이었다. 마당 수요포럼(11월 12일 '전주세계소리축제 재신임을 묻는다)과 전주세계소리축제 공청회(11월 18일)에서 이 같은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는 소리축제가 이처럼 정서적인 지지를 높게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여론의 도마위에 올라 '흔들기'를 당할 수밖에 없는 것은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조직 구성에 그 이유가 있다는 분석이 뒤따랐다. 프로그램과 내용에 대한 논의보다 '사람'과 '조직'의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라는 지적 속에서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 어느 일방의 책임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었다. 특히 전주세계소리축제조직위를 민간 축제 전문가와 파견 공무원 양측이 이원구조를 이룸으로써 의사결정구조나 결제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는 지적이 봇물을 이뤘다. 예산 집행권을 공무원이 쥐고 있는 한, 축제의 내용을 채워가는 민간 전문가들이 프로그램 내용과 방향을 의지대로 풀어갈 수 없어 해마다 비슷한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는 진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파견 공무원을 철수시키고 조직위에 민간 감사기구를 설치해 거대 예산을 투명하게 집행해 가는 내부 역량을 발휘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이 광범위하게 형성됐다. 이와 함께 공무원들이 축제를 민간에 의뢰할 경우 확실한 방향과 책임을 갖고, 관-민 사이의 계약관계를 분명히 함으로써 혼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란 의견도 공감을 얻었다. 올해 행사(9월 27일~10월 5일) 이후, '재신임' 논란까지 이어지며 위기를 겪은 전주세계소리축제. 거대 예산이 투자되고 다양한 사람들이 발을 걸치고 있는 만큼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그동안 다양한 문제점과 해결책들이 제시됐지만, 내부 조율과 협의를 통해 적용되지 않는다면 이 같은 진단은 2004년에도 또다시 반복될 수밖에 없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