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12 | [저널초점]
도시의 미래 짊어진 ‘문화상품’ 찾기
김회경 기자(2003-12-29 17:11:46)
올해는 문화가 돈을 벌어주는 산업의 영역으로 부상하면서 지역 문화의 유무형적 자산과 역사의 정통성, 도시 의 특산물과 이미지를 활용한 축제 등 이른바 '문화상품'으로 연결, 관광·산업적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내려는 시도들이 그 어느해보다 뜨거웠다.
이를 위해 도시의 위상을 높이고 경제적 수익에 연결될 만한 최적의 문화상품이 무엇이 될 수 있을까에 관한 논의가 봇물을 이뤘다. 전라북도가 지난 9월 5일 한옥생활체험관에서 마련한 '전라북도문화산업 포럼'이 그 대표적인 예로 꼽을 수 있다. 이날 포럼은 문화산업정책과 영화·애니메이션, 게임·모바일, 음악·소리, 전통공예 및 축제로 분과를 나누고, 관련 업계와 학계, 문화예술인 등을 대거 초청, 마라톤 회의를 이어가며 문화산업 전략에 대한 기본 구상을 잡기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사단법인 '마당'이 매달 마련하고 있는 수요포럼에서도 지난 5월 14일 '전라북도 전주시 문화콘텐츠, 무엇이 가능한가'라는 주제를 놓고 활발한 논의를 벌였고, 전북발전시민포럼은 11월 14일 월례포럼에서 '전북 문화발전중심전략 어떻게 세울까'를 주제로 소리, 영상 등 전주문화산업클러스터의 핵심주제를 살피는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이러한 논의는 수도권 집중화를 견제하는데 목소리를 높였던 노무현 정부의 출범에 이어 '지방 분권'이라는 새 화두가 운동성을 띠면서 '문화상품' 찾기가 지역발전을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로 떠올라 더욱 뜨겁게 불붙었다.
문화예술적 자산과 특수한 자연환경을 차별화하고 자치단체의 발전 전략으로 삼기 위한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문화콘텐츠 개발'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던져놓으며 '지역 다시보기'나 지역의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다양한 담론들이 쏟아져 나왔다.
특히 문화산업화에 대한 정부의 지원 의지가 확고한데다, 자치단체마다 문화를 토대로 한 도시발전 전략을 중요 화두로 삼고 있어 자치단체의 움직임도 발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전주를 비롯해 전국 7개 도시에서 문화산업 클러스터(문화산업단지 조성) 작업이 진행되고 있고, 전주시 역시 클러스터를 위한 용역을 발주한 상태여서 그 결과가 주목된다. 문화상품화로 그 가능성의 대상으로 타진되고 있는 것은 영상과 소리, 음식, 한지, 한방 등.
도시의 미래를 짊어지게 될 문화콘텐츠 개발에 있어 독창성과 장기적 마스터플랜, 우선순위에 따른 선택과 집중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란 여론이 높다. 도시마다 치열한 경쟁이 가열되고 있지만, 성급한 '문화상품화'는 오히려 문화를 왜곡시키거나 원형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